풍수지리에 대하여 알고싶으신가요?
주시는 질문에 최선을 다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원장님.안녕 하십니까! 원장님을 진심으로 존경하는 건설업에 종사하면서 풍수지리에 매우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호수와 흐르는 개울물,큰강,집안에 있는 어항과 수족관은 어떻게 좋고 나쁨을 구분하나요. 물에 관하여도 동양과 서양에서 해석을 달리하나요? 이제는 풍수지리에서도 물의 힘을 인정하는지요? 그렇다면 그 인정하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지요? 사람에 물이 75%를 차지한다고 하는데 풍수에서도 그렇게 생각할수 있지 않을까요? 특히 풍수 인테리어에서의 물의 역할에 대하여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너무 막연할것 같아 죄송합니다.꼭 알고 싶은 내용이니 좋은 기르침 주십시요. 안녕히 계십시요.
===== 김재곤님이 작성하신 내용 ===== 원장님.안녕 하십니까! 원장님을 진심으로 존경하는 건설업에 종사하면서 풍수지리에 매우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호수와 흐르는 개울물,큰강,집안에 있는 어항과 수족관은 어떻게 좋고 나쁨을 구분하나요. 물에 관하여도 동양과 서양에서 해석을 달리하나요? 이제는 풍수지리에서도 물의 힘을 인정하는지요? 그렇다면 그 인정하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지요? 사람에 물이 75%를 차지한다고 하는데 풍수에서도 그렇게 생각할수 있지 않을까요? 특히 풍수 인테리어에서의 물의 역할에 대하여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너무 막연할것 같아 죄송합니다.꼭 알고 싶은 내용이니 좋은 기르침 주십시요. 안녕히 계십시요. RE:잦은 출장과 강의때문에 답변이 늦어짐에 깊은 이해를 바랍니다. 중국풍수는 물을 중시하여 "부귀빈천은 용혈에 있으나,길흉화복은 물에 달려 있다"라고 하나 고생대 산을 이루고 있는 우리 山河에 대한 풍수는 독특한 aura 때문에 용과 혈을 중시함이 올바른 것입니다.. 용,혈,사,수 그 어느것 하나도 소중하지 아니한것은 없으나 물은 그 탁도(급수)와 선청수,조배수,취천수,천비수,반궁수,배역수,환포수,충협수,당면수,지현수,구곡수,월견수,원진수 여부로 길흉을 가늠하며, (氣는 물이 있는곳에서 멈추어 응결된다는 득수 취기의 논리와 산은 음이요,물은 양이란 음양 이론.) 서양에서는 흐르는 물은 자금의 유통,멈춰있는 물은 재물은 물론 지혜와 지식의 증가와 평화의 증진을 의미하나 연구의 초점이 재물의 증식의 여부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멈춘 물(호수나 연못)중 1급수는 ba gua 중 명예와 혼인에 관한 지역을 제외한 모든곳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fountain(분수대),aquarium(수조)의 위치와 화장실,주방,정화조등 물을 다루는 곳을 사우선(귀문방)에 두지 않는것은 동,서양 풍수에서 이를 유사하게 취급하나 게르만족과 앵글로 색슨족과 유태계 회사를 자문하여 드릴때는 분명히 명백한 차이점이 있습니다.(이러한 이유가 필히 서양 풍수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섭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본인의 경험입니다:feng shui,feng shui interior,dowsing,geomancy에 대한 외국문헌에 대한 탐독과 이를 통한 응용의 필요성) 분수대와 수조는 정교한 배치에 따라 상당한 부의 창출을 도모할수 있으나(레날트 효과), 금융권에서 이러한 풍수 교정물의 설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현실적으로는 이의 설치를 극도로 기피(물을 먹는다는 허황된 논리이지만 무시하기에는 완강한 거부감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느낌)) 하므로 다양한 현장 경험이 풍부하고 풍수지식과 예지력이 뛰어난 분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것입니다.(S증권 사옥입지 선정과 풍수 인테리어 consulting 시 본인이 이의 문제점을 지적해 드린바 있습니다.) 또한 풍수지리학에서는 땅이나 물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파악하여 환경공학적,환경친화적,형태심리학적,공간심리학적,이기론적 형이상학적이론과 형국론,수맥론,생태친화론등의 형이하학적 이론과 의학,대체의학,보완의학을 반드시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해석,정리하는 실증적이며,선험적인 이론의 집합적 학문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게 느껴지는 매우 난해한 학문인 것입니다. 궁금하신 사안을 구체적으로 강의때나 consulting 난이나 e-mail 을 통하여 질의하시면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